처분사유의 추가 - 처분사유의 추가?변경에 관한 행정소송법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5 15:19
본문
Download : 처분사유의추가.hwp
즉 처분사유의 추가라 함은 당초의 처분사유를 그대로두고 새로운 사유를 추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처분사유의 변경이라 함은 당초의 처분사유에 대체하는 새로운 사유를 내세우는 교환적 변경을 의미한다.
2. 구별concept(개념)
1) 하자의 치유와의 차이
처분사유의 추가. 변경은 처분의 성립 당시에 적법요건상 하자가 있는 행정행위가 그 요건을 사후에 보완함으로써 그 행정행위의 효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자의 치유와는 구별된다
2) 무효행위의 전환과의 구별
처분의 추가. 변경은 동일한 처분에 관한 것이므로 일정한 요건하에 하자있는 행정행위를 다른 행정행위로 유지시키는 행정행위의 전환과 구별된다
3) 행정행위의 사후변경과는 구별
처분사유의 추가. 변경은 처분의 동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하자있는 행정행위를 다른 새로운 행위로 대체하는 행정행위의 사후변경과는 구별된다
Ⅱ. 처분사유의 추가?변경의 허용 여부
1. 문제의 소재
처분사유의 추가나 변경을 전혀 허용하지 않으면 원고가 승소한 이후에 행정청이 제시하자 않은 사유를 근거로 다시 처분을 하게 되고, 원고가 이에 대해 다시 소를 제기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분쟁의 일회적 해결의 요청에 반하게 된다
한편 이를 무한정 인정하게 되면 원고가 예상하지 아니한 처분사유를 소송 중에 행정청이 제시함으로써 원고의 공격. 방어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2. 학설
1) 긍정설
소송의 대상이 되는 것은 처분의 적법성이고, 처분사유는 공격방어방법에 지나지 않으므로 자유롭게 변경하여 주장할 수 있다고 한다. , 처분사유의 추가 - 처분사유의 추가?변경에 관한 행정소송법상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처분사유 추가
레포트/법학행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설명
처분사유의 추가?변경에 관한 행정소송법상 검토
Ⅰ. 들어가며
1. 의의
행정청이 처분을 하면서 일단 처분사유를 밝힌 후 이에 대한 취소소송을 계속 중 그 처분의 적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처분 당시에 처분 사유로 삼았던 것과는 다른 사유를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2) 부정설
…(drop)
처분사유,추가,법학행정,레포트


순서
처분사유의 추가 - 처분사유의 추가?변경에 관한 행정소송법상 검토
처분사유의 추가
처분사유의 추가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Download : 처분사유의추가.hwp( 86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