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의 도덕교육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12:36
본문
Download : 율곡의 도덕교육론.hwp
따라서 성인의 덕은 천과 더불어 하나가 되므로 신묘불측(神妙不測)한 것이라 하겠고, 힘쓰지 않아도 맞고 생각하지 않아도 얻어서 작위하지 아니하고도 모두가 규구(規矩)에 맞으며, 동용동작(動容動作)이 모두 예에 맞는 것이다. 율곡에 있어 성인이란 중인의 준칙(準則)이며, 천리에 순하여 성(誠)의 온전함을 얻은 사람이다. 성리학의 교학이념과 도덕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율곡의 `성인`관과 교육방법, 교육방법의 원리로서 성찰과 실천에 상대하여 정리(arrangement)했습니다. 유학적 도덕교육론 역시 지행합일의 인간을 성숙 인격자로 보고 있따 존양(存養)과 궁리(窮理)에 의해서 도달하려는 이상적 입장인 성현의 인격이란 성리학이 goal(목표) 로 한 성숙된 인격상이다. 따라서 천도의 온전함을 그대로 인간에게 있어 체득한 이가 성인으로서 성인은 천인합일의 …(drop)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율곡의 도덕교육론.hwp( 49 )
율곡 이이의 도덕교육론에 대한 글입니다. , 율곡의 도덕교육론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율곡의 도덕교육론
1. 성리학의 교학이념과 도덕교육
2.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성인됨
3. 도덕교육서의 학습 과정적 characteristic(특성)
4. 도덕교육의 방법적 원리로서의 성찰과 실천
(1) 성찰적 원리
(2) 실천적 원리
현대의 도덕교육이 올바른 가치 판단과 가치 실천을 지향하는 교육이며, 학생의 도덕적 지식을 도덕적 실천에로 연결시키는 것이 목적이라면 양자의 통합을 강조하는 성리학의 교학 이념은, 이지적 능력의 제고를 통해 도덕성을 함양시키고, 이를 도덕적 실천에 이르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 현대 도덕 교육론의 본래적 목적을 잘 함축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성리학의 교학이념과 도덕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율곡의 `성인`관과 교육방법, 교육방법의 원리로서 성찰과 실천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율곡 이이의 도덕교육론에 대한 글입니다. 또한 성인의 인격은 본받아 배울 수 있으니 존양과 궁리의 방법에 의거해 인격완성에 정진할 것을 주장하는 성리학이야말로 군자의 학이며 인격을 성숙시키는 학이라고 할 수 있따 따라서 유학의 도덕인식론은 현대 도덕교육의 지행합일의 문제 해결에 있어 유용한 관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성인됨
율곡에 있어 교육적 인간상은 무엇인가? 그것은 성인이라 할 수 있따 그의 저술을 살펴볼 때 우리는 그가 뜻을 세움에 반드시 성인을 일컫고 있음을 볼 수 있따 본래 유가 철학에서는 바람직한 인가의 모습을 성인, 군자, 사, 대, 인, 대장부 등 여러 가지로 설명(說明)하고 있지만, 율곡은 주로 성인, 진유(眞儒), 도학지사(道學之士)로서 설명(說明)하고 있따 진유나 도학지사는 현실적인 교육적 인간상이라면 성인은 이상적인 교육적 인간상이라 할 수 있따 가까이는 진유가 되길 바라지만 멀리는 성인에 이르기를 바라는 것이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