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한학과 교육·과거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7 23:18
본문
Download : [인문] 한학과 교육 과거제도.hwp
설명
Download : [인문] 한학과 교육 과거제도.hwp( 37 )
[인문] 한학과 교육·과거제도
다.
순서
[인문] 한학과 교육·과거제도 , [인문] 한학과 교육·과거제도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한학과 교육·과거제도
[인문] 한학과 교육·과거제도
한학과 교육·과거제도
(1) 삼국시대
1) 고구려 - 태학 설립(소수림왕), 평양 천도 후에 경당 설립(한학과 무술), 광개토대왕릉비, 중원 고구려비 등이 유명
2) 백 제 - 5경박사, 의박사, 역박사, 개로왕의 국서, 무령왕릉의 지석, 사택 지적비의 비문 등이 유명
3) 신 라 - 울진 봉평 신라비, 진흥왕 때의 단양 적성비, 순수비의 비문, 진평왕 때의 임신 서기석 등이 유명
4) 한자 외에 지명이나 향가 등에는 이두 사용
(2) 통일 신라의 학술1) 학술 - 의학, 병학, 역학, 산학, 율학 등이 발달
2) 한학의 발달
① 국학 설립 - 신문왕 때 왕권 강화와 유교 정치의 이념 목적
박사와 조교를 두어 유학교육에 힘씀전공과목별로 3개 부문으로 구분, 논어·효경 공통과목
② 독서 삼품과
㉠ 원성왕 때 학문 성적으로 관리 임명 → 진골 귀족의…(省略)③ 학자
(4) 고려의 교육 기관
① 태조 때 - 개경, 서경에 학교 건립
② 성종 때 - ㉠ 교육조서 반포
① 사학 - 최충의 9재 학당(문헌공도) 등 사학 12도의 융성 → 관학 쇠퇴
② 관학 진흥책
① 교육 기회 확대
② 유학 위주의 교육, 기술학 천시, 기술 교육은 없었음
③ 교육과 과거 제도의 밀접한 연관
① 교육 기관 - 성균관과 4부 학당(중앙), 향교(지방), 서당
② 과정 - 서당이나 4학, 향교를 거쳐 소과에 응시 → 합격자는 성균관에 입학 → 문과 응시 자격 획득
③ 학생 정원 - 전국에 1만 6천명 정도 → 16세기 이후 정원 외의 학생 증가
① 배경 - 출판 文化의 발달 → 서적의 보급
② 교육 기회의 확대 - 16세기 이후 서원의 설립과 서당의 보급
③ 文化 수준 향상에 기여
5) 과거 제도
① 과거의 종류
② 과거의 실시
③ 기타
① 원산 학사 설립(1883, 덕원 주민들이 설립, 근대 학문과 무술 교육),
② 동문학(영어 강습 기관) 설립
③ 관립 학교 - 육영 공원(1886)은 최초의 관립 학교(미국 교사 초
인문,한학과,교육·과거제도,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인문]%20한학과%20교육%20과거제도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5%9C%ED%95%99%EA%B3%BC%20%EA%B5%90%EC%9C%A1%20%EA%B3%BC%EA%B1%B0%EC%A0%9C%EB%8F%84_hwp_01.gif)
![[인문]%20한학과%20교육%20과거제도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5%9C%ED%95%99%EA%B3%BC%20%EA%B5%90%EC%9C%A1%20%EA%B3%BC%EA%B1%B0%EC%A0%9C%EB%8F%84_hwp_02.gif)
![[인문]%20한학과%20교육%20과거제도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5%9C%ED%95%99%EA%B3%BC%20%EA%B5%90%EC%9C%A1%20%EA%B3%BC%EA%B1%B0%EC%A0%9C%EB%8F%84_hwp_03.gif)
![[인문]%20한학과%20교육%20과거제도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5%9C%ED%95%99%EA%B3%BC%20%EA%B5%90%EC%9C%A1%20%EA%B3%BC%EA%B1%B0%EC%A0%9C%EB%8F%84_hwp_04.gif)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