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미생물학] 식품의 생균수 측정(測定)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03:28
본문
Download : [식품 미생물학] 식품의 생균수 측정.hwp
생균수 측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시료를 적당히 희석하여 한천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colony를 형성하는 균의 수를 측정 하는 평판계수법(plate count)이다. 이것을 원액으로 하여 10배씩 단계적으로 적당한 배
생균수(viable cell count)는 대상으로 하는 식품 중의 총 세균수라는 뜻은 아니며 일정한 조성의 배지에서 일정 온도로 유지하여 일정 시간 후에 한천 평판 위에 형성된 호기성균의 colony 수를 나타낸 것이다.
이번 實驗(실험)은 우유 속에 살아 있는 세균의 전체 수를 정량적으로 산출해 보며 생균수 측정(測定) 법, 총균수 측정(測定) 법, 페트리필름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1.1 혼합희석 평판 배양법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으로 채취 청량하여서 10배량의 멸균 생리식염수를 첨가하고 blender를 이용하여 균질화 한다. 1mL의 시료액 또는 각 단계 희석 시료액을 멸균 petri dish 2~5장씩에 넣는다. 생균수 측정에 의하여 얻어진 균의 수는 집락 형성 단위(cfu/mL 또는 cfu/g)로 표시하는데 이것은 각각의 colony는 한 개의 단일 세포에서 origin되기도 하지만 세포집단으로 부터 얻어질 수도 있기 때문
![[식품 미생물학] 식품의 생균수 측정-7417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C%8B%9D%ED%92%88%20%EB%AF%B8%EC%83%9D%EB%AC%BC%ED%95%99%5D%20%EC%8B%9D%ED%92%88%EC%9D%98%20%EC%83%9D%EA%B7%A0%EC%88%98%20%EC%B8%A1%EC%A0%95-7417_01.jpg)
![[식품 미생물학] 식품의 생균수 측정-7417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C%8B%9D%ED%92%88%20%EB%AF%B8%EC%83%9D%EB%AC%BC%ED%95%99%5D%20%EC%8B%9D%ED%92%88%EC%9D%98%20%EC%83%9D%EA%B7%A0%EC%88%98%20%EC%B8%A1%EC%A0%95-7417_02_.jpg)
![[식품 미생물학] 식품의 생균수 측정-7417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C%8B%9D%ED%92%88%20%EB%AF%B8%EC%83%9D%EB%AC%BC%ED%95%99%5D%20%EC%8B%9D%ED%92%88%EC%9D%98%20%EC%83%9D%EA%B7%A0%EC%88%98%20%EC%B8%A1%EC%A0%95-7417_03_.jpg)


다.
설명
Download : [식품 미생물학] 식품의 생균수 측정.hwp( 35 )
이다. 평판계수법은 혼합희석 평판 배양법과 평판도말 배양법 등이 있다.
순서
이번 실험은 우유 속에 살아 있는 세균의 전체 수를 정량적으로 산출해 보며 생균수 측정법, 총균수 측정법, 페트리필름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식품 미생물학,식품의 생균수 측정
시료가 고체나 반유동체의 경우에는 시료의 1g 또는 10g 정도를 무균적
[식품 미생물학] 식품의 생균수 측정(測定)
수로 희석하여 평판배지 1개에 30~300개의 colony가 형성되도록 한다. 미리 멸균하여 굳지 않을 정도(45~50℃)로 식혀 둔 한천배지를 15~20mL씩 무균적으로 주입하고, petri dish 뚜껑에 배지가 묻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시료와 배지를 잘 혼합하여 평판배지를 만들고 배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