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일식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18:51
본문
Download : 동아시아 일식도.hwp
동아시아일식도
동아시아 일식도
순서
Download : 동아시아 일식도.hwp( 55 )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본 자료는 동아시아 일식도에 대해 조사정리한 리포트입니다. 이것은 역싸학자들에게 넘겨드릴 몫이다.
`이런! 예측이 이렇게 빗나갈 줄이야! 뭔가 숨어 있겠군!`
단지 내 검증 방법을 한번 확인해 보기 위한 `테스트`에 불과했던 이 계산에서 예상 밖의 일이 일어난 것이다. 신라와 백제의 경우 한반도가 아니라 오늘날의 중국(中國) 대륙 동부에 최적 관측지가 나타난 것이다. 그러자 도저히 믿을 수 없는 위치가 나왔다.본 자료(資料)는 동아시아 일식도에 대해 조사요점한 리포트입니다. 나는 누가 해도 똑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객관적 사실까지 만을 찾아 보여주고자 한다. 나는 곧바로 일식 기록에 대한 나의 위치 추정 방법을 얼마나 믿을 수 있는지…(skip)
다. 그런데 확인 결과 전연 다른 위치가 튀어나왔다. 이것이 과학자의 능력이자 역싸학에 대한 한계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 실현율
- 신라상대 : BC 54 ~ AD256년 - 84%(19개중 16개 실현)
- 신라하대 : 787 ~ 911 - 90%(10개중 9개 실현)
- 백 제 : 77%(26개중 20개 실현)
- 고 구 려 : 73%(11개중 8개 실현)
- 중국(中國) 당나라(618 ~ 906년) 일식실현률은 77%이다 (108개중 83개)
▒ 최적관측자의 위치가 중국(中國)대륙으로 나온다
삼국시대 천문기록이 밝혀 준 고대 역싸
‘하늘에 새긴 우리역싸’
‘동아시아 일식도’ 1999.11.10 서울대학교 출판부
박창범 교수
- 서울대학교 천문학과 졸업
- 미국 프린스턴대학 천체물리학과 박사
- 우주론·외부은하·고천문학 연구
- 현재 서울대학교 천문학과 교수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일식 기록을 추려 내고 신라, 고구려, 백제별로 분류해 각 나라가 기록한 일식들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관측지를 각각 찾아보았다.동아시아일식도 , 동아시아 일식도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삼국시대 천문기록이 밝혀 준 고대 역싸
유경로 교수와의 만남
일식관측지가 중국(中國)대륙으로 나타나는 이유
《삼국사기》의 신빙성 문제
나는 우리의 옛 책에 나오는 자연현상 기록을 역싸학계에서 사료화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꿔 놓기 위해 이 작업을 한 것이므로 새로운 역싸나 사서내용의 originate 를 주장하고 싶지는 않다. 애초에 삼국의 위치는 익히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워 왔던 대로 한반도 상에 나타나리라고 예상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