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거스틴의 교회론 - 도나투스트파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08:56
본문
Download : 어거스틴의 교회론 - 도나투스트파와의 논쟁을 중심으로.hwp
Ⅰ. 서 론
A. 논문의 의의와 목적
B. 논문의 범위 및 전개방법.
Ⅱ. 본 론
A. 어거스틴 신학의 중요성
B. 어거스틴의 생애
C. 어거스틴 시대의 역싸적 배경
D. 로마제국과 그리스도교의 박해
E. 도나티즘.
F. 어거스틴의 교회론.
Ⅲ. 결 론.
A. 내용요약.
B. 교회 일치 운동에 있어서 나아가야 할 길.
어거스틴은 일행과 어머니와 함께 고향에 가기위해 로마의 항구 오스티아(Ostia)에 도착하였는데 여기서 어머니를 잃는 슬픔을 당하게 된다 이때 모니카는 56세였고, 어거스틴은 33세였다.
Download : 어거스틴의 교회론 - 도나투스트파와의 논쟁을 중심으로.hwp( 18 )
신학적으로 교회론을 최초로 종합적인 정리를한 어거스틴의 교회론을 연구함으로써 초기 기독교의 교회론에 관하여 이해하여 참다운 교회론을 정립하고자하며, 또한 어거스틴과 도나투스트파와의 논쟁의 과정과 결과를 연구했습니다.
둘째로, 키케로(Cicero)의 저서「Hortensius」를 연구함으로써 그는 내적으로 진리탐구에 대한 자극을 받았다. 그리고 388년 고향인 타가스테에 가서 재산을 팔아 구제하였고, 살던 집은 개조하여 수도원으로 만들었다. 그는 391년 수도원 문제로 힙포(Hippo)를 방문하게 되었는데 무슨 영문인지도 모르게 앞으로 끌려나와 발레리우스에게서 사제로 안수를 받는다. 어거스틴은 또한 키케로 부터 절충적, 실용적인 시점(視點)를 배워 지상…(skip)
어거스틴의 교회론 - 도나투스트파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신학적으로 교회론을 최초로 종합적인 정리(arrangement)를한 어거스틴의 교회론을 연구함으로써 초기 기독교의 교회론에 관하여 이해하여 참다운 교회론을 정립하고자하며, 또한 어거스틴과 도나투스트파와의 논쟁의 과정과 결과를 연구했습니다. 발레리우스감독은 그후 얼마있어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그때 어거스틴은 바로 아프리카로 가지 않고 1년간 로마에 머물면서 자유의지론(De libro aritrio)등 몇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Ibid., pp.235 - 243.
이러한 어거스틴의 생애를 폴 틸리히(Paul Tillich)는 그의 사상배경에 깔린 요소를 8가지로 보고 있다아 I.C헤넬, 「폴틸리히의 그리스도교 사상사」 (서울:한국신학연구소, 1987), pp.147 - 156.
첫째로, 그리스도교 전통과 연결시켜준 경건한 그리스도교도였던 어머니의 影響을 들 수 있다아 여기서 또한 폴 틸리히는 모든 교회교부들의 위대성이 그에게 막대한 影響을 끼쳤다고 보았다. , 어거스틴의 교회론 - 도나투스트파와의 논쟁을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순서
다. 그는 여러 논쟁으로 점점 유명해지자 다른 지역의 감독으로 어거스틴을 빼앗길까봐 발레리우스는 서둘러 어거스틴을 힙포의 감독으로 선출하였다. 어거스틴은 여러 논쟁을 통하여 교회를 변론하였고 감독의 직분에 충성스레 봉사하다가 430년 5월 반달족이 힙포를 포위하고 해안과 도로를 봉쇄하였는데 반달족이 포위한지 3개월 후 어거스틴은 열병으로 앓아눕게 되었고 다윗이 참회할 때 쓴 시편을 외우면서 참회의 눈물속에 430년 8월 28일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