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8 06:54
본문
Download : 교회론.hwp
이와 마찬가지로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는다는 것은 세례를 받는 사
람이 전적으로 자신을 예수에게 의탁하고 그는 하늘이 보내주신 구세주로 받아
드리며 그의 인도하심에 따르겠다는 결의를 나타내 주는 것이다.
삼위 일체의 형식은 하나의 체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는 점에 주목해야한다.
이와 같은 사람들에게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
통하심 너희 무리와 함게 있을지어다`(고후13:…(省略)
순서
`성부와 성자와 성신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라`라는 말씀과 `각각 예수 그리 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얻으라`는 베드로의 명령... , 교회론인문사회레포트 ,
교회론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성부와 성자와 성신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라`라는 말씀과 `각각 예수 그리
다. 데이어의 레시콘(Thayer`s Lexicon)에 의할 것 같으면 이는 유대인
들이 그의 메시야의 권위에 대하여 신뢰심을 갖고 또한 소망을 두었던 것을 뜻
하는 것이다. 다만 이 말씀은 세례를 받는 자들은 예수를
주님과 그리스도로 시인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나타내 주고 있따 가령 예를 들
면 주후 190년경에 기록된 어떤 글에서 볼 것 같으면 기독 교인의 세례를 말할
때는 주 예수의 세례라고 언급되어 있으나 세례의 형식에 대하여 언급할 때에
는 성부,성자,성신 삼위의 이름이 다 언급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따 바울이
이스라엘 백성들이 기적적으로 홍해를 육지처럼 건너게 됨으로 말미암아 모세를
하나님의 보내 준 인도자와 교사로 받아 드렸다는 사실을 의미하는데 불과한 것
이다. 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얻으라`는 베드로의 명령...
Download : 교회론.hwp( 43 )
,인문사회,레포트
`성부와 성자와 성신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라`라는 말씀과 `각각 예수 그리
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얻으라`는 베드로의 명령과 어떻게 원
만한 조화를 이룰수 있을가?(행2:38). 베드로가 명령한 말씀은 세례의 형식에
관계되는 말씀이라고 할 수 없다.
삼위 일체의 하나님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은 사람들은 그것에 의하여 저들이
삼위 일체의 하나님과 영적 교제를 갖게 되었다는 것을 증거하게 되는 것이다. 세례의 형식에
대하여는 예수께서 친히 말씀해 주신 것을 마태복음 28장에서 찾아 볼 수 있따
행2:38,을 글자 그대로 번역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에 근거하여 세례를 받
으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