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용언 반복 구문 : 용언의 가시적 이동을 위한 또 하나의 근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15:44
본문
Download : 한국어의 용언 반복 구문 용언의 가시적 이동을 위한 또 하나의 근거.hwp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어 용언의 활용형이 어떻게 형성되느냐에 따라 용언의 어간 및 활용어미 등이 독립적 통사 핵을 이룬다는 통사부 分析(분석)의 입장과 이와 반대로 활용형 전체가 어휘부에서 형성된다고 보는 어휘부 分析(분석), 용언의 어간 및 활용어미들이 독립적 핵을 이룬다는 음운부 分析(분석)이 있따 이런 입장들 중에서도 이 논문은 용언 반복이 통사부 分析(분석)을 위한 중요한 긍정적 근거가 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따
1. 용언 반복 구문
용언 반복 구문의 성질 중에서 이 논문에서는 두 용언 어간 중 하나가 허사임을 보이는 근거를 제시하고 앞에 나타나는 용언은 완전한 활용형을 갖추지 못한다는 양상을 검토하고 있따 그 첫 번째로 반복 용언 중 하나는 허사이다 라는 주장에 대한 근거이다.
따라서 이러한 예들은 용언 반복 구문에서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의 복사이며 그 중 하나는 허사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2) 가. 박선생님께…(drop)
통사론중간고사
한국어의 용언 반복 구문 : 용언의 가시적 이동을 위한 또 하나의 근거통사론중간고사 , 한국어의 용언 반복 구문 : 용언의 가시적 이동을 위한 또 하나의 근거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어의 용언 반복 구문 : 용언의 가시적 이동을 위한 또 하나의 근거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어의 용언 반복 구문 용언의 가시적 이동을 위한 또 하나의 근거.hwp( 46 )
설명
한국어의 용언 반복 구문 : 용언의 가시적 이동을 위한 또 하나의 근거
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반복되는 것 중 어느 하나가 허사라는 것이 부정어에서도 나타남을 들 수 있따 이러한 구문에서 부정어 중 하나는 부定義(정이) 뜻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다.
두 번째로 복사의 양상, 즉 활용어미를 중심으로 완전한 활용형을 갖추지 못한다는 양상에 대한 근거이다. 그 근거로 선어말 어미를 대상으로 복사의 양상을 살피고 있따 우선 일치소 ‘-시’의 경우이다. 혹은 음성적으로 반복되는 두 용언이 의미적으로는 하나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영이가 예쁘기는 영이가 예쁘다. 이는 용언 반복 구문 문장의 진리 조건이 용언 반복 구문 문장에 대응하여 용언이 한 번 나타나는 문장의 진리 조건과 별 차이가 없다는 점을 들고 있따 또한 반복되는 용언 모두가 허사가 아니라면 의미역 기준에 따라 각각이 갖고 있는 모든 의미역이 전부 혹은 부분 배정되어야 할 것이나 실제로 (1)에서 보듯 그런 문장은 좋지 않다는 점을 들고 있따
(1) 가. 철수가 영이를 만나기는 철수가 영이를 만났다.
나. 철수가 영이를 만나기는 영이를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