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토목기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18:14
본문
Download : 최신토목기술.hwp
대수층은 깊이 10m 전후의 점토 혼재의 충적사력층이고, 취수량도 1일 300㎥으로서 소규모이었으며 또 당초 시공한 물막이벽은 지수결과 가 불충분하였기 때문에 1980년에 상류에 새로운 물막이벽을 건설하였다. 이 제안을 최초로 적용한 instance(사례)는 1973년 나가사끼현 노모사키에 속하는 가바지마태로 제안된 것은 1964년에 교또대학의 마쓰오신이찌로(松尾新一郞) 교수가 지중댐에 대한 구상을 (樺島)의 상수도 수원으로서 지하대수층에 지하물막이벽(지수벽 혹은 차수벽이라고도 함, 이하 물막이벽)을 구축한 것이 Japan 최초의 지하수댐이 되었다.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최신토목기술
Download : 최신토목기술.hwp( 78 )
● 지하수댐
1. 지하수댐의 정의(定義) 및 분류
2. 지하수댐의 장단점과 입지조건
●경인운하
●지능화 고속도로
1. ITS
2. 초고속 통신망
3. Hi-Pass
1. 지하수댐의 정의(定義) 및 분류
가. 지하수댐의 정의(定義)
Japan에서는 지하수 흐름을 차수하기 위해 지중의 일부를 굴착하고 점토 등으로 치환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것을 오래전부터 실시한하여 왔으며, 아이찌현 카스까이시(愛知縣 春日井市) 근교에서는 1930년경에 길이 330m, 층후 8m의 점토로 물막이벽을 구축한 instance(사례)가 있다 그러나, 본격적인 지하수댐이 구체적인 형발표한 것이 최초이다.최신토목기술 , 최신토목기술기타레포트 ,






최신토목기술
순서
설명
다.
우리나라에서 지하댐이란 용어는 농업진흥공사가 1982년 이안지하댐 조사시험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어원은 Japan에서 사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지상에 설치하는 지상댐과 대비하여 물막이벽을 지하에 설치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된다. Japan 농업토목기술사전에는 「지하의 공극률이 큰 지층에 지수…(투비컨티뉴드 )
본 자료(data)는 최신 토목기술에 대해 조사정리한 리포트입니다.
본 자료는 최신 토목기술에 대해 조사정리한 리포트입니다.
Hanson과 Nillson(1986)은 「인공적인 차수벽 시설을 통해 지하수를 저장하는 모든 방식」을 지하수댐(groundwater dam)이라 하였으며, 이에는 지표면 하부에 차수벽을 시공하여 지하수를 저장하고 이를 양수하여 사용하는 방식의 지하댐(subsurface dam)과 계곡과 같이 주변에 비해 낮은 지표면 위에 지지력이 있는 댐을 시공한 후 댐에 의해 확보된 공간을 모래와 같은 투수성 물질로 채운 후 물을 저장하고 이용하는 방식의 모래 저장댐(sand storage dam)의 두종류가 있으며 가끔씩 이 두 종류를 병용하여 설치하기도 한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