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케로의 최고선악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19:47
본문
Download : 키케로의 최고선악론.hwp
Chap. II, III는 앤소니 A. 롱의 『헬레니즘 철학』, 코플스톤의 철학사 1권인『그리스로마철학사 』, 요하네스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上)』의 해당부분을 참조하여 작성하였다. 내용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가장 이해가 용이한 방향으로 주로 참조했으며, 상충될 때에는 앞에서 언급된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두었다. II. 에피쿠로스 철학의 출발점에서는 에피쿠로스의 이론(理論)적 형성에 influence(영향)을 준 대표적 이론(理論)들을 다루었다. “라틴어는 어휘가 빈약하지도 않으며 오히려 그리스어에 비해 표현이 풍부하다.
키케로의 최고선악론
,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키케로의 최고선악론.hwp( 81 )






설명
Prologue.
I. 키케로의 『최고선악론』제 1권
II. 에피쿠로스 철학의 출발점
III. 에피쿠로스는 왜?
Epilogue. 에피쿠로스, 삶의 예술가
Prologue.
키케로의 『최고선악론』은 헬레니즘 철학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따 이 책에서 키케로는 タイトル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최고선과 악에 대한 학파들의 논쟁들을 두루 수록하고 또 자신의 견해에서 비판하고 있따 이 책의 제 1권에서는 스토아학파의 영원한 숙적 에피쿠로스학파의 추구점, 즉 최고선으로서의 쾌락에 대해 서술하고 있따 따라서 이번 발제는 『최고선악론』 제 1권에서 다뤄지는 에피쿠로스학파의 여러 주제들을 자세히 분석하여 명확히 하고, 그 논의의 이론(理論)적 배경과 맥락을 밝혀서 에피쿠로스학파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目標(목표)로 한다. 또한 우리는 본문에 나타난 논의들과 주제들을 바탕으로 토론을 하였는데, 그때 제기된 물음들을 중 선별된 물음들을 통해 III. 에피쿠로스는 왜? 에서는 에피쿠로스의 쾌락주의적 윤리론의 전반적인 윤곽과 그 이론(理論)적 배경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I. 키케로의『최고선악론』 제 1권 에서는 분량이 좀 많아지더라도 했지만 본문의 표현과 논증과정을 최대한 살려 요약하는 쪽을 택했다. 발제문이라는 특성(特性)상 각주는 모두 skip하였고 발제자 임의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단어나 어구에는 진한 글씨로 표시했다.키케로의최고선악론1권발제문 , 키케로의 최고선악론법학행정레포트 ,
순서
키케로의 최고선악론에 대상으로하여 조명하고 에피쿠로스 학파의 특징에 대상으로하여 조사하였습니다.
I. 키케로의 『최고선악론』제 1권
I ~ III. 라틴어 저술의 정당성, 판단중지.
그리스어로 다루던 문제를 라틴어로 취급하는 것은 정당하다.
키케로의 최고선악론에 대해서 조명하고 에피쿠로스 학파의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cf. “판단중지(에포케)”에 관한 언급…(skip)
키케로의최고선악론1권발제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