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과 녹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15:38
본문
Download : 도시계획과 녹지.hwp
도시공간은 광의로 비건폐지서에서 개방된 공개공간을 말하고 있다아 흔히 오픈 스페이스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공간은 도로와 같은 용지를 제외한 것으로 녹지공간의 관념을 가진 녹피지(綠被地)여야 한다.
도시공간은 일반적으로 그린스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의 오픈 스페이스를 부정하는 학자도 있다아 그린 스페이스는 생태학적 환경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으나 오픈스페이스는 환경의 뜻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나 녹지공간 이라면 그속에 농림업용지나 목장과 생산녹지로서 공개되지 아니한 곳도 있고, 고원이나 공개녹지와 같은 보통녹지도 포함된다 그러나 인위적 시설을 첨가한 것이 공원이라면 보통녹지는 공개녹지로 자유로운 출입과 산책이 가능한 곳이라 할 수 있다아
우리나랑의 녹지는 도시계획법상 용도지역으로 녹지지역이 있으며 이것은 보전녹지지역과 자연녹지지역은 자연풍치보호가 필요하고 생산녹지지역은 농경지보호의 필요에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아
2. 완충녹지와 기타녹지
일반녹지외에 특수녹지로서 도시공원법 제10조에는 녹지의 세분으로서 완충녹지와 경과?녹지가 있으며, 도시계획법 제2조에는 시설녹지라는 것이 있다아
먼저 도시공원법에서 말하는 완충녹지란 대기오염, 소음, 진동, 악취 기타 이에 준하는 공해와 각종 사고나 자연재해 기타 이에 준하는 재해 등의 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를 말하고 있다아
도시내에는 각종 이질적 토지이용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순화분리시키고 여러 환경오염의 피해를 공간상에서 차단시키거나 경감시키며, 시설물의 보호와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특수녹지이다.
순서
도시계획과 녹지 , 도시계획과 녹지자연과학레포트 , 도시계획과 녹지


설명
레포트/자연과학
Download : 도시계획과 녹지.hwp( 63 )
도시계획과 녹지
1. 도시공간과 녹지
오늘날 도시에서 도시공간은 필수불가결한 존재이다. 이 용도는 토지의 소유, 관리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완충녹지의 종류를 위치별, 종류별로 분류해 본다면
① 제1종 완충녹지 - 공업 단지 및 공업지역 주변
② 제2종 완충녹지 - 토지이용의 상충지역 및 재해발생지역
③ 제3종 완충녹지 - 교통공해발생지역…(drop)
도시계획과 녹지
도시계획과,녹지,자연과학,레포트
도시계획과 녹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