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출석수업대체시험 핵심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01:24
본문
Download : 20222_출석대체_국문2_맞춤법과표준어.pdf
제10장 띄어쓰기(2)
2022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출석수업대체시험 핵심체크
② 「한글 맞춤법」개정의(定義) 기본 방침
- 국어 교육의 차원에서 미비점 보완
제4장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 제7장 사이시옷 제9장 띄어쓰기(1) 제10장 띄어쓰기(2)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① 1933년에 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drawback(걸점)에 대한 비판이 커지자 70년부터 정부에서 어문규범의 전면적인 제정 및 개정에 착수
- 균형성과 안정성 중시로 개정의(定義) 폭 극소화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순서
제9장 띄어쓰기(1)
2) 「한글 맞춤법」의 규정과 체재
- 불필요하게 된 규정을 정비
Download : 20222_출석대체_국문2_맞춤법과표준어.pdf( 60 )
제4장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1) 「한글 맞춤법」의 제정과정
① 「한글 맞춤법」은 본문 6장 57항과 부록으로 구성됨
- 현행 규정을 근간으로 전체 체재를 합리적으로 조정





① 표준어: 맞춤법 규정의(定義) 대상은 표준어
- 중략 -
- 학계, 언론계 등 국민 여론 최대한 수렴
맞춤법과표준어,방통대맞춤법과표준어,방송대맞춤법과표준어,맞춤법과표준어시험,맞춤법과표준어요약,맞춤법과표준어출석수업대체
- 규정의(定義) 미비점을 보완
- 언어 현실의 변천을 합리적으로 수용
설명
제7장 사이시옷
3) 제1장 총칭
제4장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
- 문장 부호의 종별과 사용법을 체계화
③ 어법에 맞도록: ‘원형을 밝혀’ 적는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편리하며, 한번 정해진 철자는 혹시 다르게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언제나 일정하게 표기한다는 원칙
1. ‘소리대로’와 ‘어법에 맞도록’
② 소리대로: 표음 문자인 한글로서는 너무나 당연한 규정으로 표준어로 인정하여 선택한 말은 그 발음대로 충실히 적어야 한다는 의미
- 실용상 준수되지 않는 규정을 현실화
② 1970년 봄 개정 시안들이 만들어졌지만 1979년 10·26사태와 정변으로 보류되다 1983년부터 재사정 작업에 들어가고 1984년 국어연구소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재추진되어 1988년 「한글 맞춤법」 탄생하였음
③ 개정된 한글 맞춤법의 특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