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의 중요질병의 예방과 대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4 05:37본문
Download : 돼지의 중요질병의 예방과 대책.hwp
감염된 돼지의 90%이상이 감염후 4~7개월이 지난후에도 장간막 임파절과 편도, 맹장 및 분변에서 살모넬라균이 분리된다
어분등 동물성 단백질 사료 또한 감염원이 될 수 있으며 야생동물중 쥐는 특히 장염형의 Cause 균인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을 전파시킬 가능성이 있다
구강을 통해서 체내로 들어온 살모넬라균은 소장관내에서 일차로 증식한 다음 주로 회장 상피세포를 침입 통과한 후 고유층에 도달하게 되면 탐식세포에 의해 탐식된다 이렇게 탐식은 되지만 살모넬라균은 죽지않고 오히려 증식이 이루어 지며 이 탐식세포에 의하여 장관의 각 부위와 장간막 임파절 등으로 쉽게 전파된다 살모넬라균이 증식하게 되면 균체내 독소(endotoxin)를 생산하는데 이 독소에 의해서 advantage(장점) 막과 점막하직 및 고유층에 분포되어 있는 미세혈관의 혈전 및 혈관내피세포의 괴사가 일어나며 이렇게 되면 advantage(장점) 막의 광범위한 염증과 괴사를 초래한다. 보돈균...
다. 보돈균은 대략 감염후 10일간은 다량의 균을 배출하고 길게는 4~5개월까지 간헐적으로 살모넬라균을 분변으로 배설하는데 이것에 오염된 사료나 물을 섭취함으로써 발병이 이루어진다.
Download : 돼지의 중요질병의 예방과 대책.hwp( 71 )
가. 역학
외부적으로 특별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고 있으면서 균은 분변을 통해 배출하는 보돈균이 새로운 감염을 일으키는 근원지이다. 보돈균... , 돼지의 중요질병의 예방과 대책의약보건레포트 ,
가. 역학
설명
외부적으로 특별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고 있으면서 균은 분변을 통해 배출하는 보돈균이 새로운 감염을 일으키는 근원지이다.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에 의해서…(투비컨티뉴드 )






돼지의 중요질병의 예방과 대책
레포트/의약보건
,의약보건,레포트
순서
가. 역학 외부적으로 특별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고 있으면서 균은 분변을 통해 배출하는 보돈균이 새로운 감염을 일으키는 근원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