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세계화의 이해 및 strateg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7 23:46본문
Download : 남북한 세계화의 이해 및 전략_1144062.hwp
지침이 마련된 1989년도에는 북한방문 신청(1건, 1명)이 그대로 승인(1건, 1명)을 얻어 성사(1건, 1명)되었다. 남한정부가 `정치인, 경제인, 언론인, 종교인, 文化(문화) 예술인, 체육인, 학자 및 학생 등 동포간의 상호교류를 적극 추진하며 해외동포들이 자유로이 남북을 왕래하도록 문호를 개방한다`고 선언한 이후로 남한과 해외동포 종교인들의 방북이 잦아지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다음해 1990년도에는 신청 7건, 199명, 승인 6건, 187명, 성사 3건, 183명으로, 1991년에는 신청 12건, 244명, 승인 11건, 243명, 성사10건, 237명으로, 1992년도에는 신청 17건, 303명, 승인 8건, 257명, 성사 8건, 257명으로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나타내었다.
그 후 남한정부는 `7.7특별선언`(1988.7.7)을 통하여 획기적인 남북교류협력의 시대를 열고자 했다. 1985년 9월 20일부터 `남북 이산가족 고향방문 및 예술공연단`의 교환방문이 실현되어 분단이래 처음으로 민간차원의 인적 왕래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1994년 10월 21일 제네…(투비컨티뉴드 )
순서
Download : 남북한 세계화의 이해 및 전략_1144062.hwp( 89 )
남북한세계화의이해및strategy
설명
다. 남북한은 1984년 11월 이래 1년여 동안 경제회담 5회, 적십자회담 3회, 국회회담을 위한 예비접촉 2회 등 총 16회의 교류접촉을 가졌다.
,경영경제,레포트
레포트/경영경제






남북한세계화의이해및전략 , 남북한 세계화의 이해 및 전략경영경제레포트 ,
남북한 세계화의 이해 및 strategy
Ⅰ. 서론
Ⅱ. 세계화에 대한 남북한의 입장 및 정책
1. 남한
1) 정치
2) 경제
3) 외교
2. 북한
1) 정치
2) 경제
3) 외교
Ⅲ. 세계화가 남북관계에 미친 影響
1) 정부부문
2) 민간부문
3) 기업부문
Ⅳ. 대응책략
1) 정부부문
2) 민간 및 기업부문
Ⅴ. 결론
※ Reference List
2. 민간부문
1) 남북교류협력의 동향
남북교류협력부분에서는 1970년대부터 국제적 데탕트 분위기를 맞이하여 남북적십자회담, 7.4공동성명 등을 계기로 일시적이나마 남북 간의 해빙무드가 고조되었으나, 실제적인 성과를 갖게 된 것은 1984년에 들어와서였다. 1993년도에 들어와 북한 핵 문제가 돌출하자 남북관계는 경색국면에 접어들었고, 이에 따라 북한방문 事例도 급격히 감소하였다. 특히 1984년 9월 8일 북한이 남한지역의 수해피해자들을 위한 수재물자 지원으로 교류협력의 물꼬를 트게 되었다. 또한 1989년 6월 12일에는 남한정부가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기본지침`을 마련함으로서 남북한 간의 인적, 물적 교류에 새로운 장이 열리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