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예에 대한 새로운 인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9 16:03본문
Download : 궁예에 대한 새로운 인식.pptx
궁예에 대한 새로운 인식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궁예에 대한 새로운 인식.pptx( 77 )
궁예,새로운,인식,인문사회,레포트
궁예에 대한 새로운 인식
궁예에 대한 새로운 인식 , 궁예에 대한 새로운 인식인문사회레포트 , 궁예 새로운 인식
순서






_SLIDE_1_
궁예에 대한 새로운 인식
왕건은 궁예의 후계자이다
_SLIDE_2_
목 차
1. 서론
4. 궁예왕건 정권의 연속성에 관한 논거
1) 국호의 계승
2) 자주적 연호 사용
3) 정치체제의 계승
4) 대외정책 계승
5) 종교사상적 측면
2. 궁예에 대한 기존
3. 왕건과 궁예의 discrimination성
1) 궁예의 호족정책
2) 신라에 대한 궁예의 적대감
5. conclusion
_SLIDE_3_
1. 서론
고려왕조 개창에 있어서 궁예의 의의
-궁예는 악인이고, 왕건은 선인인가
-궁예에 대한 재인식의 必要性
_SLIDE_4_
2. 궁예에 대한 기존 인식
-삼국사기, 고려사에 실려 있는 궁예에 대한 인식
-안정복에 의한 객관적 재조명
_SLIDE_5_
3. 궁예와 왕건의 discrimination성1) 궁예의 호족정책
-왕건의 호족정책
-궁예의 호족정책
_SLIDE_6_
3. 궁예와 왕건의 discrimination성2) 신라에 대한 궁예의 적대감
-왕건, 견훤의 대신라 정책
-궁예의 대신라 정책
_SLIDE_7_
4. 궁예왕건 정권의 연속성에 관한 논거
1)국호의 계승 고려라는 국호의 사용
2)자주적 연호의 사용 왕건 즉위 초 자주적 연호 사용
_SLIDE_8_
4. 궁예왕건 정권의 연속성에 관한 논거
3)정치체제의 계승
-관제, 관등 제도적 장치 답습
대민정책
광평성이 상서성으로 계승
4)대외 정책의 계승 친거란 정책
5)종교 사상적 측면
정치적측면에서의 이해
팔관회 계승
_SLIDE_9_
5. conclusion
궁예와 왕건의 호족, 대신라 정책
-궁예에 대한 기존의 인식
-왕건의 궁예에 대한 계승 논거
-앞으로 바라보아야 할 歷史(역사)적 관점
_SLIDE_10_
삼국 사기
고려사
_SLIDE_11_
왕 건
궁 예
_SLIDE_12_
Q.1 왕건 정권은 강력한 권력을 가졌을까
Q.2 궁예…(drop)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