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독어 수동문의 특성과 통사적 analysi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21:03
본문
Download : [논문] 독어 수동문의 특성과 통사적 분석.hwp
설명
레포트/기타
논문,독어,수동문,특성과,통사적,기타,레포트
순서
[논문] 독어 수동문의 특성과 통사적 analysis
독어 수동문의 特性과 통사적 分析*
- 영어 수동구문과의 대조 연구 -
Ⅰ. 머리말
수동구문은 전통문법에서 뿐만 아니라 생성문법에서 많은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었다. ‘동사의 태 Genus verbi’는 일반적으로 행위자나 피행위자와 같은 의미역 semantische Rolle에 주어나 목적어와 같은 문법기능을 부여하는 기제 Mechanismus를 의미한다(Shibatani 1988:3참조). 다음을 보자. (원예문 Jacobs 1985)1)
1) D: a. Ein hungriges Rhinozeros aß die Bambussprossen.
b. Die Bambussprossen wurden (von dem hungrigen Nashorn) gegessen.
E: a. A hungry rhinoceros ate the bamboo shoots.
b. The bamboo shoots were eaten (by a hungry rhinoceros).
수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현재까지는 어떤 formula(공식)화도 능동문과 수동문을 정확하게 다룰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즉, Heidolf et al. 1981, Duden 1984, Hentschel & Weydt 1990, Permuter & Postal 1977, Shibatani 1985, Baker, Johnson & Roberts 1989, Jacobs 1985,1995, Huddleston & Pullum 2002 등이다. 수동태는 보통 동사의 기본형태인 능동태와 비교하여, ‘유표적 변이형태 markierte Diathese’라고 한다. 능동-수동 관계의 본질에 대상으로하여 전통문법이나 변형문법은 양자가 같은 의미라고 보고 상호 구문 전환이 가능하다는 입장이고,2) 의미론이나 최소주의에서는 의미구조 또는 입력구조 자체가 다르다고 보며, 화용적 입장에서는 정보구조 자체가 다르다고 본다. 능동문과는 달리 수동구문은 피행위자가 통사적 축으로 기능하고, 텍스트문법적으…(To be continued )
[논문] 독어 수동문의 특성과 통사적 analysis
Download : [논문] 독어 수동문의 특성과 통사적 분석.hwp( 76 )
[논문] 독어 수동문의 특성과 통사적 분석 , [논문] 독어 수동문의 특성과 통사적 분석기타레포트 , 논문 독어 수동문 특성과 통사적
![[논문]%20독어%20수동문의%20특성과%20통사적%20분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8F%85%EC%96%B4%20%EC%88%98%EB%8F%99%EB%AC%B8%EC%9D%98%20%ED%8A%B9%EC%84%B1%EA%B3%BC%20%ED%86%B5%EC%82%AC%EC%A0%81%20%EB%B6%84%EC%84%9D_hwp_01.gif)
![[논문]%20독어%20수동문의%20특성과%20통사적%20분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8F%85%EC%96%B4%20%EC%88%98%EB%8F%99%EB%AC%B8%EC%9D%98%20%ED%8A%B9%EC%84%B1%EA%B3%BC%20%ED%86%B5%EC%82%AC%EC%A0%81%20%EB%B6%84%EC%84%9D_hwp_02.gif)
![[논문]%20독어%20수동문의%20특성과%20통사적%20분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8F%85%EC%96%B4%20%EC%88%98%EB%8F%99%EB%AC%B8%EC%9D%98%20%ED%8A%B9%EC%84%B1%EA%B3%BC%20%ED%86%B5%EC%82%AC%EC%A0%81%20%EB%B6%84%EC%84%9D_hwp_03.gif)
![[논문]%20독어%20수동문의%20특성과%20통사적%20분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8F%85%EC%96%B4%20%EC%88%98%EB%8F%99%EB%AC%B8%EC%9D%98%20%ED%8A%B9%EC%84%B1%EA%B3%BC%20%ED%86%B5%EC%82%AC%EC%A0%81%20%EB%B6%84%EC%84%9D_hwp_04.gif)
![[논문]%20독어%20수동문의%20특성과%20통사적%20분석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8F%85%EC%96%B4%20%EC%88%98%EB%8F%99%EB%AC%B8%EC%9D%98%20%ED%8A%B9%EC%84%B1%EA%B3%BC%20%ED%86%B5%EC%82%AC%EC%A0%81%20%EB%B6%84%EC%84%9D_hwp_05.gif)
![[논문]%20독어%20수동문의%20특성과%20통사적%20분석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8F%85%EC%96%B4%20%EC%88%98%EB%8F%99%EB%AC%B8%EC%9D%98%20%ED%8A%B9%EC%84%B1%EA%B3%BC%20%ED%86%B5%EC%82%AC%EC%A0%81%20%EB%B6%84%EC%84%9D_hwp_06.gif)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