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少年 비행과 도덕 윤리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02:29
본문
Download : 청소년 비행과 도덕 윤리교육.hwp
이러한 주장들을 살펴볼 때, 죄책감이나 수치심은 잘못된 행위나 어떤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품성이나 능력의 결여에 대하여 내·외적으로 갖게 되는 부끄러움이라고 할 수 있다아 그리고 어떤 사람이 이러한 부끄러움을 느낄 수 있다면, 어느 정도의 양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는 것도 암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아
부끄러움의 의미를 이렇게 볼 때, 도덕·윤리 교육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目標)로서 ‘부끄러움을 느끼는 사람’을 느끼는 사람을 설정할 수 있다아 우선적으로 부끄러움을 느끼는 사람이란 부끄러움을 느끼게 하는 어떤 내적 기준이 형성되어 있는 사람이다. 셸러(M. Scheler)는 정신과 충동간의 갈등으로부터 부끄러움이 나타나고, 그러한 갈등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보호하려는 감정이 곧 부끄러움이라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높은 정신적 세계를 지향하는 사람만이 부끄러움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부끄러움을 느끼게 하는 교육
테일러(G. Taylor)에 따르면, 수치심이나 죄책감은 자부심과 함께 “자신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감정들”이다. 즉, 우리 자신의 행위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어떤 내적 기준에 미치지 못할 때, 우리는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느끼며, 우리의 행위가 그러한 기준에 도달할 때 우리는 자부심을 느끼는 것이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부끄러움의 의미를 단순히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이라기보다는 부끄러움을 느끼게 만드는 내적 기준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explanation)한 것은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아 실제로 비행을 저지른 행위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행위에 대상으로하여 단순하고 습관적인 수치심이나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그 부끄러움을 느끼게 하는 내적 기준이 어느 정도 확실하게 형성되어 있느냐는 것이다. 왜냐하면 내적 기준을 갖지 않은 사람들도 습관적이고 의례적으로 부끄러움을 표시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일것이다
또한 부끄러움을 느끼는 사람은 충동을 억제하고 보다 높은 정신적 세계를 지향하는 사람이다. 자신의 지향과 다르게 충동에 따라 행위할 때, 그 …(투비컨티뉴드 )
靑少年 비행과 도덕 윤리교육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청소년 비행과 도덕 윤리교육.hwp( 29 )
부끄러움을 느끼게 하는 교육
부끄러움을 느끼게 하는 교육 테일러(G. Taylor)에 따르면, 수치심이나 죄책감은 자부심과 함께 “자신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감정들”이... , 청소년 비행과 도덕 윤리교육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순서
테일러(G. Taylor)에 따르면, 수치심이나 죄책감은 자부심과 함께 “자신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감정들”이...
,인문사회,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