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22:31
본문
Download : 묘.hwp
1) 북방식 지석묘
북방식 지석묘는 네 개의 판석을 세워서 장방형의 석실을 구성하고 그 위에 거대하고 편평한 돌을 상석으로 올려 놓은 것으로, 유해가 매장되는 석실을 지상에 노출시키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짧은 지석들은 상석의 중량을 직접 받지 않기 때문에 입구를 여닫기가 용이하다.
s
다.
남방식과 북방식이라는 명칭은 지역적인 명칭이므로, 이 분류기준에는 지역적인 기준과 석실위치에 따른 분류기준이 함께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s , 묘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묘
,기타,레포트
설명
순서
1. 머리말
2. 북방식·남방식·개석식 지석묘
1) 북방식 지석묘
2) 남방식 지석묘
3) 개석식 지석묘
3. 지상형·지하형 지석묘
1) 지상형 지석묘
2) 지하형 지석묘
4. 맺음말
2. 북방식·남방식·개석식 지석묘
우리나라 지석묘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형식의 지석묘가 있으며, 지역적으로도 크게 남북으로 갈라지기 때문에 북방식 지석묘와 남방식 지석묘로 부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북방식 지석묘는 묘실이 지상에 있으며, 남방식 지석묘는 묘실이 지하에 있다 그리고, 남방식 지석묘 중 지석이 없는 것을 개석식으로 분류하였다.
석실의 긴 변에 세운 두 개의 지석은 거대한 상석의 무게를 직접 받고 있으므로 두꺼운 판석을 사용하고 있으며, 하부는 땅 속에 깊이 묻혀 석실 내부 바닥보다 훨씬 뿌리가 깊다.
Download : 묘.hwp( 53 )
묘에 대한 글입니다. 또한, 밑뿌리의 형태는 되도록 지하에 깊이 박을 수 있도록 삼각형이나 반달형을 이루고 있다
석실의 짧은 변에 세우는 지석은 긴 변 지석 내부에 들어와 ‘ㅍ’모양으로 세워진다. 그러나, 북방식 …(省略)
묘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