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에 대한 강제송환금지 원칙 및 잠정적 보호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15:58
본문
Download : 탈북자에 대한 강제송환금지 원칙 및 잠정적 보호 문제.hwp
다만, 이 원칙에 대한 예외로서 난민이 현재 체류하고 있는 국가의 안전에 위험을 주는 경우 그리고 일반 형법상의 중대한 범죄행위를 범한 경우에는 동 원칙을 배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단서규정을 적용할 때에도 동 협약의 취지나 제정 배경에 입각하여 난민의 보호를 위해 가능한 한 좁게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강제송환금지의 원칙은 난민협약상 가장 중요한 원칙이며, 국제법의 일반원칙으로 오늘날에 있어서 강행규범으로 발전되는 과정 중에 있거나 혹은 이미 강행규범으로 확립된 원칙이라고 볼 수 있다 난민협약 제42조 1항에 의해 강제송환금지의 원칙은 동 협약의 본질적 요소로 유보금지의 대상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동 협약당사국은 이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탈북자에 대한 강제송환금지 원칙 및 잠정적 보호 문제
탈북자에 대한 강제송환금지 원칙 및 잠정적 보호 문제
Download : 탈북자에 대한 강제송환금지 원칙 및 잠정적 보호 문제.hwp( 24 )



탈북자에 대한 강제송환금지 원칙 및 잠정적 보호 문제
1. 강제송환금지의 원칙
탈북자 보호와 관련하여 가장 먼저 고려하여야 할 점은 china에 체류하고 있는 탈북자들이 china공안당국에 체포되면 북한으로 강제송환 된다는 사실과 북한에 있는 가족의 안전을 항상 염려하고 있으며, 언제나 이러한 공포 속에 살아가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을 단순한 경제적 난민 혹은 불법체류자로 간주하여 북한에 강제송환하는 것은 난민협약…(투비컨티뉴드 )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탈북자에 대한 강제송환금지 원칙 및 잠정적 보호 문제 , 탈북자에 대한 강제송환금지 원칙 및 잠정적 보호 문제 법학행정레포트 , 탈북자에 대한 강제송환금지 원칙 및 잠정적 보호 문제
설명
탈북자에,대한,강제송환금지,원칙,및,잠정적,보호,문제,법학행정,레포트
다. 1951년 난민협약 제33조 1항은 강제송환금지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 원칙은 비호신청 접수국이 난민의 지위를 인정하지 않더라도 박해의 위험이 있는 국가나 지역으로 귀환 내지 강제 송환시켜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china 당국은 탈북자들을 단순히 출입국관리법상 불법입국자라든가 또는 단순히 경제적인 목적으로 혹은 보다 나은 삶을 살기 위해서 입국한 경제적 난민으로 규정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따라서 탈북자가 난민의 지위를 획득하는 것에 선행하여 그들이 북한으로 강제송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탈북자들이 북한체제를 정면으로 비난하거나 혹은 공산당을 탈당하여 정치범으로 간주되어 탈출하는 자들이 아니며, 오로지 기아의 공포를 벗어나 생존을 위해 탈출한 사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