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저스 theory(이론)의 평가 및 사회복지실천에의 시사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16:46
본문
Download : 로저스 이론의 평가 및 사회복지실천에의 시사점.hwp
반면에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을 주고받는다면 그 개인은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으로 발전하고 건강한 자아구조가 발달하게 된다된다. 그러므로 유아는 부모나 교사, 기타 권위 있는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따라서 스스로를 평가하는 방법을 배운다고 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심리치료 분야의 주류였던 정신analysis과 지시적인 상담에 회의를 느끼면서 클라이언트를 위한 독특한 관점을 개발시켜야 함을 인식하여 클라이언트 중심의 비지시적 치료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로저스의 理論은 理論보다는 치료기법에 관하여 influence(영향)을 많이 끼쳤으며, 치료적 관계의 구성요소로서 비위협적인 환경, 비심판적 태도, 공감과 진실성, 무조건적 긍정…(drop)
설명
로저스 theory(이론)의 평가 및 사회복지실천에의 시사점
로저스 theory(이론)의 평가 및 사회복지실천에의 시사점
Download : 로저스 이론의 평가 및 사회복지실천에의 시사점.hwp( 73 )


로저스 이론의 평가 및 사회복지실천에의 시사점 , 로저스 이론의 평가 및 사회복지실천에의 시사점인문사회레포트 , 로저스 이론 평 사회복지실천 시사점
레포트/인문사회
다.
이러한 외부로부터의 평가과정은 그 개인의 자아실현이나 성장발달에 influence(영향)을 끼치는데, 특히 타인으로부터의 부정적인 평가는 부정(denial)이나 왜곡(distortion)과 같은 심리적인 방어기제를 발전시켜서 결국은 정신병리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순서
로저스,이론,평,사회복지실천,시사점,인문사회,레포트
로저스 理論의 평가 및 사회복지실천에의 시사점
로저스는 초기에는 정신analysis이나 랑크의 기능주의 접근법 등 다양한 치료방법에 관하여 관심을 가겼다. 잘 適應(적응)하는 사람은 자신이 어떻게 진실 되게 행동하고, 생각하며 경험하는지에 대하여 정확하게 인식하는 사람이다.
성격발달에 관한 로저스의 理論은 현상학적 자기에 초점을 두고 있따 현상학적 자기란 각 사람이 자기만의 고유한 방법으로 인식하는 자기에 관한 이미지이다. 유아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평가하는 것이 자유롭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이나 느낌에 있어서 유아의 유기체적 가치과정이나 신뢰가 융통성이 있고 개방되어 있따 유아가 발달해 감에 따라서 외부세계로부터 오는 평가를 받아들이게 되고 점차로 유기체적 가치부여 과정이 변형되어 간다. 반면에 부適應(적응)적인 사람이란, 자기 이미지와 현실 사이에 부조화를 이루어서 결국은 심한 불안상태가 되어 버리는 사람이다.
로저스는 유아가 내적 평가중심을 지니고 있어서 부모의 도움 없이도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를 안다고 믿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