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chain.co.kr 마르크스주의 역싸 : 제 2 인터네션널의 마르크스주의 > thebchain6 | thebchain.co.kr report

마르크스주의 역싸 : 제 2 인터네션널의 마르크스주의 > thebchain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hebchain6

마르크스주의 역싸 : 제 2 인터네션널의 마르크스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00:16

본문




Download : 마르크스주의 역사 제 2 인터네션널의 마르크스주의.hwp




그러므로 ‘논쟁이 이뤄지는 조건’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독해는 필연적인 ‘오독’의 결과는 낳는다.( 역사(歷史)발전의 원동력이 계급투쟁이냐 생산력이냐 하는 문제:농민의 반동성에 대한 마르크스의 언급, 인도에 대한 마르크스의 판단오류, 중국(China)에 대한 명백히 잘못된 생각들...)
―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은 ‘비판’이다.

③ 정세로서의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대부분의 저작은 정세적 개입물이다.

Download : 마르크스주의 역사 제 2 인터네션널의 마르크스주의.hwp( 20 )


,인문사회,레포트

② ‘전통’과 ‘이단’

― ‘정통과 이단’의 구분은 중세 후기의 종교재판과정에서 그 연원이 있다 마르크스주의에 정통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안토니오 라브리올라가 쓰고 있듯이, ‘마르크스주의는 마르크스라는 이름을 둘러싼 다양한 경쟁하는 이론(理論)과 실천적 이데올로기들의 복합체이다’.(레닌주의, 트로츠키주의, 마오주의, 헤겔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실존주의적 마르크스주의,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 합리적 선택 마르크스주의 등등)
― 소위 마르크스주의의 정통을 자처하는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스탈린이 ꡔ레닌주의ꡕ라는 책자에서 definition 한 것으로 레닌주의를 ’자본주의의 제국주의 단계의 마르크스주의‘라 하면서 보편화된 것이다. . 각 시기마다 ‘정통’으로 군림한 마르크스주의는 당대의 ‘지배적 이데올리기’이다.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실상 스탈린주의에 다름 아닐것이다. 그것은 신성불가침의 `성경`이 아니라 가설과 개입과 실패를 노정하는 정세의 산물이다.(디아마트Diamat와 히스토마트Hismat) 마르크스의 책은 언제나 “개방된 저작이며 작업 중에 있는 저작”이다.(마르크스)
― 맥락을 무시한 채 ‘마르크스가 쓴 몇몇 구절의 인용을 통한 교조화’는 마르크스주의를 ‘독단주의 밤’에 가두어 둘 뿐이다. 그러므로 상호모순적인 진술의 ‘복합성’을 지닌다. 그것은 당대 지배이데올로기 뿐만 아니라 경쟁하는 좌파들과의 논쟁을 통한 구성물이다. “ꡔ반뒤링론ꡕ은 몽둥이를 들고 뒤링의 집으로 달려갈 필요가 있었던” 상황에서 쓰여진 글이다. 문…(省略)


레포트/인문사회
마르크스주의%20역사%20제%202%20인터네션널의%20마르크스주의_hwp_01.gif 마르크스주의%20역사%20제%202%20인터네션널의%20마르크스주의_hwp_02.gif 마르크스주의%20역사%20제%202%20인터네션널의%20마르크스주의_hwp_03.gif 마르크스주의%20역사%20제%202%20인터네션널의%20마르크스주의_hwp_04.gif 마르크스주의%20역사%20제%202%20인터네션널의%20마르크스주의_hwp_05.gif 마르크스주의%20역사%20제%202%20인터네션널의%20마르크스주의_hwp_06.gif



마르크스주의 역싸 : 제 2 인터네션널의 마르크스주의
설명
마르크스주의 역사 : 제 2 인터네션널의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글입니다.2인터내셔널-8 , 마르크스주의 역사 : 제 2 인터네션널의 마르크스주의인문사회레포트 ,

마르크스주의 역싸 : 제 2 인터네션널의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글입니다.


순서




2인터내셔널-8







다.
전체 12,65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hebchain.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