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chain.co.kr 중등생 교우관계 증진호로그램 > thebchain6 | thebchain.co.kr report

중등생 교우관계 증진호로그램 > thebchain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hebchain6

중등생 교우관계 증진호로그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2:34

본문




Download : [교육상담]중등생 교우관계증.hwp




심각한 문제를 지닌 학생들을 돕는 데는 어려움이 있지만 교우 관계 증진의 경우에는 집단 상담을 통해 상담자가 많은 학생들에게 비교적 쉽게 접근하여 심층적이고 교정적인 경험을 efficacy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아 또한 집단이라는 장면을 통해 친구들끼리 직접 도움을 주고받게 하여 그들 사이에 깊은 만남의 관계를 촉진시킬 수 있다아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김계현 외, 학지사, P311 제 10장 집단지도와 집단상담
6) 피드백의 efficacy
4. 구체적인 프로그램 구성

1)goal(목표)
다.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교육상담]중등생 교우관계증.hwp( 27 )



2) youth기의 발달과업
교우관계 친구 중등생 중고생 친구 / 2004년 1분기 세부 상담 실적-한국청소년상담원 이장호, 1995 (학교생활과 생활지도)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김계현 외, 학지사 (교육상담)
youth기는 학교 등 여러 형태의 집단생활을 통해 신속하게 사회화되고 인격이 함양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집단 상담과 집단지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아 개인상담과는 달리, 집단상담에서는 또래 구성원과 나의 동일시가 많이 이루어지며, 열등감 때문에 위축되는 경향이 적어지기 때문에 더욱 유용하다. 이장호, 1995 (학교생활과 생활지도에서 발췌. P 313 1. 집단지도와 집단상담)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2차시 : 나의 모습 알아보기>

<중간활동 : online - 8가지 타입 유형, 다른 타입과의 관계 개선 기술 등의 정보제공>
이장호, 1995 (학교생활과 생활지도)
3) online 프로그램을 통한 친구 사귀기
5)프로그램 특징
■테스트 항목 1~8
# bibliography 1) 집단 상담
3)인원


교우관계 친구 중등생 중고생 친구
<1차시 : 좋은 만남 처음 하기>




중등생 교우관계 증진호로그램
집단상담은 상담자나 지도자에게는 집단구성원의 사회적 태도 등을 관찰하고 지도할 수 있는 편리한 장을 마련해주고 구성원들에게는 또래들 간에 정서적 유대감 및 소속감과 이타주의적 협동심을 배양하는 기회를 준다. youth들은 상담 받는 문제를 좀더 새로운 각도에서 보게 되며, 사회관계에서의 자신과 타인을 받아들이려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아 그들은 자기의 말과 행동에 대한 또래들의 reaction(반응)을 수용하는 경험을 갖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담자의 지적과 충고보다는 또래들의 자극과 조언에 의해서 많은 문제를 자각하거나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이 상담 프로그램에서는 표면적으로 큰 문제는 없지만 대인관계에 문제를 느끼거나, 보다 원활한 교우관계를 원하는 중학생을 참여자로 하여 진행하고 있다아 프로그램을 통해 youth들은 자기의 존재를 이해하고 타인을 이해할 수 있으며, 또래집단에의 소속감과 동일시를 통해서 상담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그에 대한 빠른 efficacy를 기대할 수 있다아
<3차시 : 나의 친구 관계 알아보기>

4)프로그램 진행시간




3. 교우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특징

<성격진단 테스트>
설명
6) 기대되는 efficacy

1) 집단 상담
<중간활동 : online- 응원 메시지 남기기>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김계현 외, 학지사 (교육상담)




순서
4) 놀이와 참여
교우관계 친구 중등생 중고생 친구 / 2004년 1분기 세부 상담 실적-한국청소년상담원
1. 프로그램 개요
2)대상과 선정이유
2. 교우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배경과 필요성

<4차시: 친구에게 다가가기>
<5차시 : 새로운 다짐하기>
5) 우정을 발달시키고 유지시키는 몇 가지 원칙

집단상담은 한 사람의 카운슬러가 몇 명의 내담자를 상대로 각 내담자의 관심사, 대인관계, 사고 및 행동양식을 alteration(변화) 시키려는 노력이다.
전체 12,65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hebchain.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