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chain.co.kr 인쇄술 기원설과 고려시대 금속활자인본에 관한 연구 > thebchain6 | thebchain.co.kr report

인쇄술 기원설과 고려시대 금속활자인본에 관한 연구 > thebchain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hebchain6

인쇄술 기원설과 고려시대 금속활자인본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4 05:37

본문




Download : 인쇄술 기원설과 고려시대 금속활자인본에 관한 연구.hwp







Ⅰ. 목판인쇄술 기원설

서적을 간행하는 수단인 인쇄술은 크게 목판(조판)인쇄술과 활자인쇄술로 나눌 수 있따 현재까지 류전되고 있는 고대의 서적은 대체로 목판인쇄에 의한 것이며, 현대에 출판되는 서적의 절대 다수는 활자인쇄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목판인쇄술이 언제 발명되었는가에 관하여는 학설이 분분하다. 본서를 인출한 흥덕사는 1985년에 청주대학교 박물관이 ‘운천동연당리사지’의 발굴을 통하여 이 사지가 바로 고려 우왕 3(선광 7, 1377)년에 본서를 주자로 인출한 ‘흥덕사지’임을 밝혀내게 되었던 것이다.
우리 고장 청주는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인 「불조직지심체요절」을 인출한 지역이라는 점으로 인하여, 일약 고인쇄문화의 고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따
「불조직지심체요절」은 1901년 모리스 쿠랑(Maurice Courant, 1865-1935)의 「한국서지」 ‘보유판’에 저록된 바 있었으나 정작 그 실물과 내용이 확인되지 않다가, 1972년에 ‘세계 도서전시회’에 출품되면서 본서가 지구상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인본으로 확인되었던 것이다.인쇄술기원설과고려시 , 인쇄술 기원설과 고려시대 금속활자인본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인쇄술 기원설과 고려시대 금속활자인본에 관한 연구.hwp( 83 )








,인문사회,레포트
본 data(자료)는 인쇄술 기원설과 고려시대 금속활자인본에 관해 연구한 보고서입니다.인쇄술기원설과고려시


설명

인쇄술%20기원설과%20고려시대%20금속활자인본에%20관한%20연구_hwp_01.gif 인쇄술%20기원설과%20고려시대%20금속활자인본에%20관한%20연구_hwp_02.gif 인쇄술%20기원설과%20고려시대%20금속활자인본에%20관한%20연구_hwp_03.gif 인쇄술%20기원설과%20고려시대%20금속활자인본에%20관한%20연구_hwp_04.gif 인쇄술%20기원설과%20고려시대%20금속활자인본에%20관한%20연구_hwp_05.gif 인쇄술%20기원설과%20고려시대%20금속활자인본에%20관한%20연구_hwp_06.gif


인쇄술 기원설과 고려시대 금속활자인본에 관한 연구
순서
본 자료는 인쇄술 기원설과 고려시대 금속활자인본에 관해 연구한 보고서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목판인쇄술 발명의 기원설로는 후한대설, 진대 함화년간설, …(省略)



레포트/인문사회



다.
본고에서는 인쇄술 기원설과 고려시대 금속활자인본들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일반 인사들의 고인쇄문화에 관한 적극적인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목판인쇄술은 고대에 있어서 서적을 생산하는 주요한 수단의 하나였다. 그 후, 1986년 6월에 ‘청주 흥덕사지 학술회의’를 통하여 학계의 견해 수렴과 흥덕사의 복원 및 청주고인쇄박물관의 건립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 1992년 3월에 청주고인쇄박물관이 개관되므로써 청주는 ‘고인쇄문화의 고장’이라는 위상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서 언

Ⅰ. 목판인쇄술 기원설
1. 후한대 기원설
2. 진대 함화년간 기원설
3. 육조 기원설
4. 북제 이전 기원설
5. 수조 기원설
6. 당조 기원설
7. 오대 기원설

Ⅱ. 활자인쇄술 기원설
1. 교니활자인쇄술의 발명
2. 목활자인쇄술의 발명
3. 금속활자인쇄술의 발명

Ⅲ. 금속활자인쇄술 기원설
1. 문종조 기원설
2. 숙종조 기원설
3. 1120연대 기원설
4. 1230연대 이전 기원설

Ⅳ. 고려시대의 금속활자인본
1. [상정예문]
2. [남명천화상송증도가]
3. [불조직지심체요절]
4. [자비도장참법집해]
5. 기타

Ⅴ. 여말선초의 인쇄기관
1. 서적점
2. 서적포
3. 서적원
4. 주자소

결 론


인쇄술의 발명은 인류문화발전에 있어서 중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일반 인사들은 이러한 저간의 사정과 우리나라 고인쇄문화에 관한 이해가 부족한 듯하다.
전체 12,65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hebchain.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