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chain.co.kr 국어 사전에서의 한자어 접미사 > thebchain6 | thebchain.co.kr report

국어 사전에서의 한자어 접미사 > thebchain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hebchain6

국어 사전에서의 한자어 접미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03:29

본문




Download : 국어 사전에서의 한자어 접미사.hwp







국어 사전에서의 한자어 접미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리고 지금부터 이 7개의 국어 사전을 이희승(1988), 신기철(1988), 한글학회(1992), 금성(1996), 연세(1998), 국어연구원(1999), 동아(2001)로 표시하기로 한다. 접미사가 비표준어인 경우에는 표준어를 적고,…(To be continued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다. 그리고 표제어로 올려져 있는 접미사가 표준어인 경우에는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고 있으며, 한자어의 경우는 한자를 괄호 속에 넣어 어원 정보를 제시해 놓았다.
위의 국어 사전에서는 접미사를 약호(줄임말)인 ‘접미’(신기철, 동아, 금성, 연세), ‘뒤’(한글학회, 언어연구소), ‘미’(이희승), ‘접사’(국어연구원)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있으며, 연세(1998)만 제외한 나머지 사전들에서는 붙임표(-)를 사용하여 접미사가 붙어 있는 표제어가 단일어가 아님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국어사전에서의한자어 , 국어 사전에서의 한자어 접미사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국어 사전에서의 한자어 접미사
1. 머리말

이 글에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짐작되는 국어 사전인 이희승 편저 「국어대사전」(1988), 신기철·신용철 편저 「새우리말 큰사전」(1988), 한글학회 지음 「우리말큰사전」(1992), 김민수 외 편 「금성판 국어대사전」(1996),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편 「연세 한국어 사전」(1998),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1999), 이기문 감수 「동아 새국어사전」(2001)에서 한자어 접미사를 어떻게 처리하였는가를 조사하여 비교해 보기로 한다.순서


Download : 국어 사전에서의 한자어 접미사.hwp( 91 )



국어사전에서의한자어
국어%20사전에서의%20한자어%20접미사_hwp_01.gif 국어%20사전에서의%20한자어%20접미사_hwp_02.gif 국어%20사전에서의%20한자어%20접미사_hwp_03.gif 국어%20사전에서의%20한자어%20접미사_hwp_04.gif 국어%20사전에서의%20한자어%20접미사_hwp_05.gif 국어%20사전에서의%20한자어%20접미사_hwp_06.gif





국어 사전에서의 한자어 접미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특히 연세(1998)은 선정된 표제어가 약 5만 개로 양적으로는 다른 6개의 국어 사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적지만, 말뭉치를 사용하여 편찬한 국내 최초의 국어 사전이라는 점을 감안해서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아래의 <표1>에서는 제시하지 않았지만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에서 펴낸 「조선말대사전」(1992)도 언어학연구소(1992)로 표시하여 필요한 경우에 언급하고자 한다.
전체 12,65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hebchain.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