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B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8 02:25
본문
Download : DMB_2069128.hwp
이처럼 지상파 DMB 도입이 미국식 디지털 지상파방송의 이동 수신 보완이라는 부가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위성 DMB 도입과 관련해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물론 표면적으로 수용자 시청기회 확대와 주파수 효용성 증대와 같은 이유들을 내걸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통신사업자의 방송사업 진출의지와 정보통신부의 지상파 디지털 전환과정에서 제기된 이동수신 보완책이 맞아 떨어지면서 도입논의가 급진전되었다. 이는 단순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방송으로 기술적 진화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월드DAB포럼(www.worlddab.org) 등에서 한국을
찾아와 보고 배울 정도다.
,공학기술,레포트
본 자료는 DMB에 대해 조사분석한 리포트입니다. 2002년 말까지만 해도 아날로그 라디오의 디지털 전환definition 으로 사용되었던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라는 용어가, 2003년 들어서자마자 갑자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라는 용어로 바뀌게 되었다.DMB , DMB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1.DMB란 무엇인가?
2.DMB 도입역사(歷史) & 배경
3.DMB서비스 구분
4.위성 DMB
5.지상파 DMB
6. 위성DMB VS 지상파 DMB
7.DMB의 영향
8. 해외 instance(사례)
9. DMB의 展望(전망)
10. DMB를 둘러싼 논란 및 쟁점
11. 해결해야 하는 과제課題
-최근 본격적으로 도입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DMB 도입 배경은 그렇게 바람직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늘날 DMB는 세계적인 용어로 부상했다.
오로지 `듣는` 방송이었는데, DAB가 `보고 듣는` DMB가 된 것은 2003년 1~2월이다.
…(drop)
설명






Download : DMB_2069128.hwp( 72 )
다. 이는 다른 말로 기술도입 목적 자체가 특정 이해집단의 이익에 의해 주도될 수 있다는 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한마디로 미국식 지상파 디지털TV 전송방식에 대한 기술적 문제제기에 대한 보완책에 고심해 온 정보통신부의 전략(戰略) 과 통신사업자인 SKT의 사업다각화전략(戰略) 이 결합되면서 급작스럽게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아
DMB(Digital Audio Broadcasting)는 본래 `디지털라디오`를 뜻하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서 출발했다.
당시 우리나라 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는 DAB가 오디오는 물론 TV방송과 데이터를 포괄하는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를 지칭하는 용어로 적절하지 않다면서 이를 `DMB`로 통일했다.
DMB
레포트/공학기술
DMB
본 reference(자료)는 DMB에 대해 조사分析한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