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중심주의의 극복을 위한 예비적 시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02:50
본문
Download : 서구 중심주의의 극복을 위한 예비적 시론.hwp
즉 그것은 비교의 대상에 따라 다양하고 상이하게 조명된다는 점이다. . 中國이나 日本 에 대응하여 내세우는 ‘한국적인 것’과 서구 문명에 대응하여 내세우는 ‘한국적인 것’은 상당히 다를 것이다.
,인문사회,레포트
서구 중심주의의 극복을 위한 예비적 시론
다. 예를 들어 (한국 유교의 특수한 측면이라면 몰라도) 한국의 유교 전통 일반을 ‘한국적인 것’으로 서구에 내세울 수는 있지만, 中國이나 日本 에 마주향하여 는 그럴 수 없을 것이다.30)
나아가 우리가 미지의 외계인을 만난다면, ‘우리의 것’은 한국적인 것, 동아시아적인 것 또는 서구적인 것을 넘어 지구상의 전인류가 공유하는 것으로 대표될 것이다. 바로 이 점이 서구중심주의의 극복을 어렵게 만드는 여러 原因 중의 또 하나이다.
먼저 ‘서구적인 것’과 ‘한국적인 것’(‘우리의 것’)의 경계 설정에 수반되는 모호함은 ‘서구적’인 것을 규정할 때 보이지 않는 준거점으로 작용하고 있는 ‘한국적인 것’ 또는 ‘우리의 것’은 과연 무엇이냐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발생한다. 서구중심주의극복을위 , 서구 중심주의의 극복을 위한 예비적 시론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서구 중심주의의 극복을 위한 예비적 시론.hwp( 37 )
순서
설명
서구중심주의의 정의 , 서구중심주의의 폐해 등을 기술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리포트입니다.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서구적인 것’과 ‘한국적인 것’을 구분하는 데 따르는 모호성을 예로 들어보기로 한다. 양자가 합의하거나 일치하는 상황에서는 그러한 문제가 야기되지 않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나 양자를 구분하는 작업은 특히 서구적인 것과 한국적인 것의 유동성 및 그 관계의 유전성(流轉性), (앞에서 논의된) 양자의 중층적인 접합양상, 행위자의 입장, 사회의 서구화 정도 등으로 인해 생각보다 쉽지 않다. 여기서 이른바 ‘한국적인 것’ 또는 ‘우리의 것’이라는 관념은 타자를 전제로 하는 관계적 관념이지 영구 불변의 속성을 가진 실체적 관념이 아닐것이다. 이렇듯 서구적인 것과 한국적인 것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자체적인…(drop)






서구중심주의의 개념, 서구중심주의의 폐해 등을 기술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리포트입니다.
서구중심주의극복을위
레포트/인문사회
2. ‘서구적인 것’과 ‘비서구적인 것’간의 모호한 경계
앞에서 제기한 문제는 결국 ‘서구적인 것’과 ‘비서구적인 것’의 접합양상이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그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서구중심주의가 문제되는 것은 통상 ‘서구적인 것’과 ‘한국적인 것’이 충돌하거나 대립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