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막 및 기타 생식기의 주기적 變化(변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6:01본문
Download : 자궁내막및기타생식기의.hwp
자궁내막의 선조직(gland)은 곧고 좁으며 끝이 단절된 모습으로 보이고, 간질은 밀접되고 치밀한 모양을 나타낸다(그림 4-2).
5. 분비기(secretory phase)
8. 월경기(Menstrual phase)
7. 월경전기에 볼 수 있는 자궁내막의 3층 구조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자궁 내막 생식기 주기 변화
4. 질의 3 종류의 세포를 감별하는 방법
3. 분비기(secretory phase)
간질의 변화는 수일간에 걸쳐 나타나며 배란후 7일째에 갑자기 부종으로 나타난다.
핵하소공은 대개 배란후 3일간 지속한다. 분비기는 배란 순간부터 다음 월경이 시작되는 시기이며 대부분의 여성에서 분비기는 평균(average) 14±2일로 매우 일정하다. 배란 후 약 48시간이 지나면 선조직(gland)의 상피세포의 기저부에 지질과 글리코겐이 풍부한 투명한 소공(vacuole)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핵하소공(subnucelar vacuole)이라고 부르며 이것은 프로게스테론 결과 가 나타났다
2. 증식기(proliferative phase)
2. 자궁내막 증식기와 분비기
ㆍhttp://www.dr4mind.net
정상 여성은 초경이 시작된 이후부터 폐경이 될 때까지 매달 난소의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의 주기적 변화에 따라서 자궁내막도 주기적 변화를 한다.
월경후기는 월경이 끝난 직후의 약 4-5일을 말하며, 이 시기의 자궁내막은 가장 얇아 두께가 1-2 mm밖에 되지 않는다. 표층 상피(surface epithelium)와 선조직(gland)의 세포는 키가 커지고 원주형으로 되며 세포분열도 증가한다.
1. 월경후기(postmenstrual phase)
4. 증식기(proliferative phase)
그림 4-1. 자궁내막의 주기적 변화





설명
자궁내막의 증식기는 월경이 시작하는 순간부터 배란이 일어나기 직전까지를 말하며 대부분의 여성에서 증식기는 10일에서 14일 사이이다. Ⅰ. 자궁내막의 주기적 변화
자궁 내막 생식기 주기 變化(변화) / ◈ reference
5. 월경기(menstrual phase)
6. 월경전기(Premenstrual phase)
Ⅱ. 기타 생식기의 주기적 변화
3. 질의 주기적 변화
자궁내막의 주기는 크게 배란 전후로 나누어 증식기(proliferative phase)와 분비기(secretory phase)로 대별하기도 하고, 다시 세분하여 다음과 같이 5 분기로 나누기도 한다(그림 4-1).
3. 월경후기(postmenstrual phase)
황체에서 프로게스테론을 생성하기 시작하므로 프로게스테론의 작용에 의하여 선조직은 분비활동을 나타낸다.
9. 월경시작후 월경이 멈추는 기전과 자궁내막의 복구
5. 난관의 주기적 변화 1. 자궁내막의 주기적 변화
5. 분비기(secretory phase)
ㆍ최유덕(2001). 새임상 부인과학 (2판). 고려의학
2. 자궁내막 증식기와 분비기
자궁내막 및 기타 생식기의 주기적 變化(변화)
()
4. 증식기(proliferative phase)
3. 월경후기(postmenstrual phase)
그림 4-3. 증식기의 자궁내막
1. 자궁내막의 주기적 변화
순서
다. 이와 같이 자궁내막의 주기적 변화를 월경 주기라고 부른다. 그러나 점차 선조직의 분비 기능이 왕성해져서 선조직의 내강에는 분비물로 충만된다 이렇게 되면 핵하소공도 보이지 않게 된다
1. 자궁경부의 주기적 변화
는 첫 번째 증표가 된다(그림 4-4).
그림 4-2. 월경후기의 자궁내막
자궁 내막 생식기 주기 변화 / ◈ 참고문헌 ㆍ최유덕(2001). 새임상 부인과학 (2판). 고려의학 ㆍhttp://www.dr4mind.net ()
4. 월경전기(premenstrual phase)
2. 임신이 되었을 때 자궁경부의 변화
Download : 자궁내막및기타생식기의.hwp( 48 )
증식기는 에스트로겐의 지속적인 작용으로 내막이 증식하여 점차 두터워지는 시기이다. 따라서 선조직도 커지고, 간질도 증가하며, 혈관도 증식한다(그림 4-3). 그러나 아직 선조직의 분비 활동은 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