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거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4 00:49본문
Download : 볼거리.hwp
,의약보건,레포트





설명
순서
임상에서 볼거리의 진단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전국적인 볼거리 환자의 보고present condition을 보면 그림 1에서와 같...
2. 국내에서의 볼거리 유행의 추이
임상에서 볼거리의 진단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전국적인 볼거리 환자의 보고동향을 보면 그림 1에서와 같다(2, 3). 6·25이후 1960년대 중반까지는 환자 수가 많았고 1980년 백신이 보급되기 스타트하여 1985년 백신 보급 사업이 확충되면서 환자 발생 수는 감소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따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서는 4년마다 유행양상을 띠고 있으며, 특히 1998년에는 5,000명에 가까운 환자가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볼거리 발생이 매우 낮을 때에는 임상적으로 볼거리로 보인느 환자에서 혈청학적으로 볼거리임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최근 국내 연구팀에 의해 실시되고 있는 볼거리 역학조사들에서도 그 necessity 을 인정하는 바이다(5).
3. 볼거리 백신의 선택
안전하고 efficacy적인 백신을 선택하는 것이 예방접종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이다.
국내에서 가장 오래, 가장 많이 …(省略)
Download : 볼거리.hwp( 71 )
볼거리
레포트/의약보건
2. 국내에서의 볼거리 유행의 추이 임상에서 볼거리의 진단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전국적인 볼거리 환자의 보고현황을 보면 그림 1에서와 같... , 볼거리의약보건레포트 ,
2. 국내에서의 볼거리 유행의 추이
다. 그러한 선택을 할 수 있기 위해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온 5가지 볼거리 주백신(Jerl Lynn주 백신, Leningrad-3주 백신, L-Zagreb주 백신, Urabe주 백신, Rubini주 백신)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겠다. 그러나 예방접종사업이 잘 추진되고 있는 시점에 이러한 주기적인 유행이 어떠한 이유에서 오는 것인지에 대한 Cause 을 규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볼거리 발생의 계절적인 양상은 국내에서 시행되었던 두 次例에 걸친 볼거리 유행 역학조사에 따르면 볼거리 환자의 분포는 4~6월에 정점을 이루었고, 이는 볼거리가 온대지방에서는 겨울과 봄에 주로 발생하고 여름철에는 최저의 발생률을 보인다는 보고와 다소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4).
볼거리 진단은 대개 임상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다른 바이러스도 이하선염을 일으킬 수 있고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예의 1/3에서 혈청적으로 볼거리가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하선염을 일으키는 다른 바이러스는 대개 유행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