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고대 사회의 발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15:29
본문
Download : [국사]고대 사회의 발전.hwp
![[국사]고대%20사회의%20발전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82%AC%5D%EA%B3%A0%EB%8C%80%20%EC%82%AC%ED%9A%8C%EC%9D%98%20%EB%B0%9C%EC%A0%84_hwp_01.gif)
![[국사]고대%20사회의%20발전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82%AC%5D%EA%B3%A0%EB%8C%80%20%EC%82%AC%ED%9A%8C%EC%9D%98%20%EB%B0%9C%EC%A0%84_hwp_02.gif)
![[국사]고대%20사회의%20발전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82%AC%5D%EA%B3%A0%EB%8C%80%20%EC%82%AC%ED%9A%8C%EC%9D%98%20%EB%B0%9C%EC%A0%84_hwp_03.gif)
![[국사]고대%20사회의%20발전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82%AC%5D%EA%B3%A0%EB%8C%80%20%EC%82%AC%ED%9A%8C%EC%9D%98%20%EB%B0%9C%EC%A0%84_hwp_04.gif)
![[국사]고대%20사회의%20발전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82%AC%5D%EA%B3%A0%EB%8C%80%20%EC%82%AC%ED%9A%8C%EC%9D%98%20%EB%B0%9C%EC%A0%84_hwp_05.gif)
[국사]고대 사회의 발전 , [국사]고대 사회의 발전인문사회레포트 , 국사 고대 사회 발전
Download : [국사]고대 사회의 발전.hwp( 50 )
설명
고대 사회의 발전
제 1절 정치구조의 정비
1. 고대의 정치 구조 비교
나 라
관 등
수 상
중앙관제
수도행정
지방행정
특수행정
군사제도
고구려
10여 관등
(대대로)
대대로
(선출)
5부
5부 - 성
(욕살)
3경제도
대모달,
말객 지휘
백 제
16관등
(좌평)
상좌평
(선출)
6좌평
22관부
5부
5방 - 군
(방령)
22담로제
방령, 군장
지휘
신 라
17관등
(이벌찬)
상대등
(선출)
집사부 등
10여 관부
6부
5주 - 군
(군주)
2소경제도
서당, 6정
설치
통 신
통일전과
같음
시 중
(임명)
집사부 등
14관부
6부
9주 - 군
(도독)
5소경제도
9서당, 10정
설치
발 해
대내상
3성6부
15부-62주
5경제도
10위제도
2. 고구려
(1) 중앙정치
① 왕족 : 계루부 - 고씨, 왕비족 : 절노부 - 명임씨
② 관등 : 대대로 이하 10여 관등
㉠ 고구려는 삼국 가운데 가장 먼저 정비된 관등조직을 성립
㉡ 초기국가 때 상가 등 10여 개의 관등이 마련
㉢ 고구려의 관등조직에는《형》과《사자》의 명칭을 중심으로 관등이 분화
㉣《형》은 연장자 내지는 가부장적 족장을 의미
㉤《사자》는 조부를 거두어들이는 사람이란 뜻의 행정적 관리 출신을 의미
③ 수상 : 임기 3년의 대대로를 선출하여 국사를 총괄하게 하고, 비상시는 대 막리지가 대권을 장악.
☞ 최초의 막리지는 연개소문이고 최후의 막리지는 남산
④ 최고회의 : 제가회의 합좌제도가 존재
(2) 지방행정조직
① 수도 : 5부 - 부족적 성격의 5부가 고국천왕 때 행정적 성격의 5부로 개편
② 지방 : 5부 - 장관 욕살이 대성에 머물면서 통치
③ 부 밑에 성 : 처려근지 또는 도사가 통치
㉠ 욕살이나 처려…(省略)
순서
국사,고대,사회,발전,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국사]고대 사회의 발전
[국사]고대 사회의 발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