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 유도 현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0 22:07
본문
Download : 전자기 유도 현상.hwp
이 경우의 유도전류는 자기력선에 수직인 도체의 면을 따라 소용돌이형으로 흐르는 데서, 특히 맴돌이전류[渦電流]라 한다.
예를 들면, 변압기나 전동기의 철심에는 맴돌이전류가 흐르기 쉽고 그 결과 도체 내에 줄열이 발생하여 전자기(電磁氣)에너지의 일부가 열에너지로 되어 소실된다 따라서 전기기계의 철심에는 서로 절연된 얇은 판을 자기력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포갠 것이 사용되며 맴돌이전류에 의한 전력손실을 막고 있따 이것을 성층철심(成層鐵心)이라 한다. 1831년 M.패러데이가 발견한 현상으로 electromagnetism의 이론(理論)적 기초가 되는 중요한 현상이며, 공업적으로도 발전기나 변압기 등을 비롯하여 많은 전기기계의 기술적 원리가 된다
회로를 관통하는 자기력선을 變化시켜 유도기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회로와 자석을 상대적으로 운동시키는 일, 즉 회로 가까이에 영구자석 또는 전류가 흐르고 있는 다른 회로(전류와 같은 effect를 가진다)를 움직이든지, 또는 양쪽 회로를 고정시킨 채 한쪽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變化시키면 된다 발전기는 앞의 방법, 변압기는 뒤의 방법으로 유도기전력을 얻는 예이다. 또, 고정된 자석의 자극 사이에 코일을 회전시켜서 유도전류를 얻을 경우에는 유도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작용에…(To be continued )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전자기 유도 현상.hwp( 98 )
,공학기술,레포트



전자기 유도현상의 사전정의와 이론에 대한 정의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전자기 유도에 의해 회로 내에 생기는 기전력을 유도기전력, 그것이 요인이 되어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유도전류라 한다.
또, 전류회로 그 자체의 전류가 變化할 때에도 전류의 變化에 따라 그 회로 자체를 관통하는 자기력선의 수가 변하므로, 유도기전력이 나타난다.
자체유도의 경우에는, 요인이 되는 전류의 變化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유도기전력이 나타난다.전자기유도현상 , 전자기 유도 현상공학기술레포트 ,
전자기 유도현상의 사전정의(定義)와 理論(이론)에 대한 정의(定義)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또, 變化하는 자기장 내의 물체가 회로의 형태를 갖추지 못한 도체인 경우에도 전자기유도가 생긴다.
전자기 유도 현상
전자기유도현상
§ 사전의 定義(정의)
§ 이론(理論)에 대한 定義(정의)
1. 전자기 유도
2. 유도 기전력
§ 사전의 定義(정의)
⇒ 전자기 감응(電磁氣感應)이라고도 한다.
설명
순서
다. 이와 같은 회로 자체의 전류 變化에 따르는 전자기유도를 자체유도(自體誘導)라 하며, 이에 대하여 다른 전류회로나 자석에 의한 자기력선의 變化에 따라 생기는 전자기유도를 상호유도라 한다.